
시사투데이 유예림 기자] 상조회사 민원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해약 환급금 미지급 피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상조회사와 관련해 지난해 1월부터 올 8월까지 1년 8개월 동안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민원이 총 1235건이었고 특히 올 1~8월에는 관련 민원이 전년 동기대비 35.0%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민원 유형은 계약 해지와 관련된 피해가 91.2%로 대다수였고 약정된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데 대한 서비스 불만(2.6%), 청약서 교부나 본인 동의 없이 가입시킨 부당 가입 이의(2.1%) 순이었다. 대다수 유형인 해약 관련 피해의 경우, 해약 환급금 미지급(77.5%)이 가장 많았고 해약 환급금 과소 지급(17.0%), 해약 거부(4.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불만 유형으로는 서비스 수준이 약정 내용보다 미흡(37.5%)하거나 비용 추가 요구(31.3%), 폐업으로 인한 서비스 불이행(28.1%) 등이었다. 부당 가입 피해로는 본인 동의 없는 가입 및 청약서 미교부(76.9%), 가입자를 속이거나 가입을 강요(23.1%) 하는 경우 등이 있었다.
상조업체 가입자 비율은 수도권이 75.9%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민원 건수는 비수도권이 66.7%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재정상태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업체가 비수도권에 많이 등록돼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상조업체 가입자 수는 올 4월 기준 총 378만 명으로 이 중 수도권이 287만 명(75.9%), 비수도권은 91만 명(24.1%)이었다. 자산규모가 큰 대형업체는 수도권(65.3%)에 많이 등록돼 있었다. 지역별로는 경기(181건), 서울(171건), 부산(120건) 순으로 민원이 많았고 인구 100만 명당 민원 발생은 울산, 충북, 대전, 부산, 경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권익위 관계자는 “상조회사 관련 피해 민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상조회사 가입 시 업체의 재정상태, 표준약관 준수 여부 등을 확인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