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혜선 기자] 교육부는 ‘지방대학 경쟁력 제고를 통한 창의적 지역인재 육성방안’을 30일 국무회의에서 논의했다고 밝혔다.
우선 지방대학의 특성화, 창의적 자산의 사업화와 창업화, 지역 중소기업 연구인력 양성을 지원해 지방대학의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지방대학 특성화를 중심으로 우수한 학과는 수도권에 버금가는 명품학과로 집중 육성하는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여건이 열악한 지방대학도 도태되지 않도록 ‘지역선도대학’과 연계해 지방대학 경쟁력이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해 우수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평생직업교육 확대 등 새로운 수요를 흡수해 지방대학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적극적 정책들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8만 5천명 수준으로 정체돼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확대하기 위해 정주여건 개선, 유치 확대, 대학 간 연계협력을 강화한다.
또한 지역 공동 기숙사, 상담센터 및 글로벌 라운지(문화교류) 등을 갖춘 ‘글로벌 교류센터’ 건립을 확대하고 권역별 외국인 유학생 서비스센터를 신설해 학업과 생활상 애로사항에 대한 맞춤형 상담 지원으로 정주 여건을 개선할 계획이다.
수도권에 집중(전체 65% 이상)된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GKS)의 지방대학 유치를 위해 지방대학 트랙을 신설하고 아세안(ASEAN) 우수 이공계 대학생에 대한 지방대학 초청 연수(100명)를 새롭게 지원한다.
특히 학령인구 감소로 전문대학의 우수한 인력과 시설은 유휴화되는 반면 폴리텍의 비학위과정의 수요는 증가하는 점을 감안해 전문대학과 폴리텍의 연계를 보다 강화했다. 양 기관의 강점 분야가 융합된 다양하고 유연한 교육과정 운영으로 서비스, IT/SW분야 등 기능 인력을 적기에 양성할 계획이다.
전문대학의 기자재, 시설 등 인프라와 폴리텍의 현장실습 노하우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면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기능 인력에 대한 수요 증가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이다.
교육부는 지방대학이 지역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현재 추진과제들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총력을 기울이고 올 연말에 구성 운영 될 ‘지방대학과 지역인재 육성지원 협의체’를 통해 지방대학 육성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