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1988년 ‘한글맞춤법’ 규정의 부록으로 처음 선을 보였던 <문장 부호>가 26년 만에 새 옷을 입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7일 <문장 부호> 용법을 보완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글 맞춤법’ 일부개정안을 고시했다. 시행은 2015년 1월 1일부터다.
그동안 글쓰기 환경이 컴퓨터와 인터넷 중심으로 급격히 변화하면서, <문장 부호>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각계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정 작업에 착수했고 올 8월 29일 국어심의회에서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이를 확정 고시하게 됐다.
이번 개정안에는 가로쓰기를 기준으로 문장 부호의 용법을 정비해 ‘온점’과 ‘반점’으로 부르던 부호 ‘.’과 ‘,’에 대해 각각 ‘마침표’와 ‘쉼표’라고 하고 기존에 부르던 이름도 쓸 수 있게 했다.
또한 줄임표(······)는 할 말을 줄였을 때,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새 문장 부호는 점을 가운데 찍는 대신 아래쪽에 찍을 수도 있고 여섯 점을 찍는 대신 세 점을 찍을 수도 있다.
(예)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문체부 관계자는 “새 문장 부호는 이전 규정에 맞추어 쓰더라도 틀리지 않도록 하되, 현실적인 쓰임에 맞도록 허용 규정을 대폭 확대함으로써 개정으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하고 규범의 현실성을 높여 국민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