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정부는 10일 중국의 자본 유입, 중국 현지 규제 강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의 애로사항을 극복하고 국내 콘텐츠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중국과의 협력 및 양국의 동반성장(Win-Win) 전략을 강화하는 종합 대책을 발표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관계 부처는 10일 경제부총리 주재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콘텐츠산업 한중 동반성장 추진 대책’을 의결했다.
인바운드 측면에서 국내산업 경쟁력 강화 위한 인프라 구축
중국 자본을 활용한 한국 콘텐츠 성장 인프라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금융, 정보, 콘텐츠 가치, 인적 자원 측면에서의 인프라 조성을 지원하게 된다.
우선 영세기업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영세기업 지원 전문펀드(2017년까지 500억 원) 및 기획단계 지원펀드(2017년까지 500억 원)를 확대해 운용할 계획이다. 콘텐츠진흥원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중국 자본에 대한 투자설명회도 개최한다.
중국 진출 기업이 핵심 애로사항으로 꼽고 있는 정보 부족에 대해서도 정부 지원이 강화된다. 콘텐츠 분야는 물론 중국 수출 전반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포털과 산업부(TradeNavi)를 통해서도 통합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아웃바운드 측면에서 콘텐츠 중국 수출 확대 위한 ‘선택과 집중’ 강화
중국 진출의 선택과 집중을 위해 중국시장에 특화된 핵심 콘텐츠 육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중국의 규제강화에 따라 틈새시장 개척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수출 확대도 추진된다. 방송, 영화, 스토리 분야에서의 공동 제작을 확대하고 방송 포맷이나 글로벌 프로듀싱을 통해 중국 진출을 모색할 예정이다.
신뢰 바탕으로 한 한중 중장기적 협력 체계 마련
이번 대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부처 공동으로 가칭 ‘범정부 해외콘텐츠 협의체’를 구성해 관련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 협의체는 정부뿐 아니라 관련 업계, 민간 전문가, 산하기관까지 함께 모여 의논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다.
콘텐츠 분야 기업들도 맞춤형 서비스를 한 번에 지원받을 수 있도록 센터를 구성하고 법률, 기업 협상, 조세, 지적재산권, 계약서 작성 검토 등 현지에서의 애로사항에 대해 전문가가 직접 지원할 예정이다.
규제 애로사항, 저작권 보호 등 정부의 직접 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정부 담당자가 검토한 후 피드백을 하는 구조로 진행된다. 또한 중국 현지에서도 맞춤형 지원을 하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무역관, 콘텐츠진흥원 사무소, 정보기술(IT) 지원센터의 협업을 통해 중국진출본부 등을 구성할 예정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을 통해 정부는 콘텐츠산업의 대중국 수출액 규모를 2017년까지 40억불 규모로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