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는 감지와 예측, 현장의 골든타임 활용을 극대화하는 구난, 총체적이고 신속한 사후복구 등 재난대응의 모든 과정을 과학기술이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제16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재난은 피할 수 없지만, 인간의 조기개입이 큰 차이를 만든다는 말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재난이 늘어나는 만큼 이에 대응하는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이라며 "재난대응 역량의 핵심은 과학기술"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홍수와 원전사고 등에 대해 과학기술을 활용한 유럽연합(EU)과 일본의 사례를 들며 "우리도 국민안전처를 신설하고 관련예산을 대폭 확대하면서 재난대응 시스템을 기초부터 새로 짜고 있다"며 "앞으로 재난안전분야의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연구성과를 재난대응에 적극 활용하는 등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재난안전을 구체화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또 "세계적으로 재난안전 관련 시장은 지난해 372조원, 2022년에는 612조원에 달할 정도로 크게 확대되고 있지만 국내 재난대응기술 기업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라며 "산·학·연이 함께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하고 새로운 산업과 시장을 창출해 재난대응 역량도 강화하고 경제 재도약에도 기여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과학기술은 우리 농업의 미래를 여는데도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며 "이제 우리 농업도 과학기술과 연구를 통해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미국, 네덜란드 등 스마트농업 사례를 든 뒤 "우리 농업도 할 수 있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변화와 혁신을 서둘러야 한다. 과학기술과 ICT를 바탕으로 정체된 농가소득 증대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농업부문의 시장개방에 적극 대응해야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농업에 과학기술과 ICT를 접목해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기계화·자동화를 통해 생산성을 크게 높여가기를 기대한다"며 "농업의 특성을 고려해 인재를 양성하고, 기술기반 농업벤처를 체계적으로 육성해 고부가가치 농업의 길을 열어 나가야겠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주재한 과학기술자문회의는 이번이 네 번째로 앞서 지난해 9월 1차 회의를 포함해 세 차례 주재한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조무제 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을 비롯해 제2기 자문위원으로 발탁된 21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이날 회의에는 자문위원과 관계부처 장관을 비롯해 산·학·연 과학기술자, 관련 협회 및 단체, 국회 등에서 각계 인사 14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