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임소담 기자]교육부는 우수한 기술 및 특허 등을 보유한 대학을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육성하기 위한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추진계획’을 정책연구와 현장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11일 확정해 발표했다.
국내 대학들은 상당한 연구 인프라와 우수한 연구 성과를 산출했음에도 사업화 자금 부족 등으로 이를 실용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교육부는 이와 같은 상황(Death valley)을 해소하기 위해 우수한 연구성과 및 사업화 역량을 갖춘 대학을 대상으로 당해 사업을 추진한다.
본 사업은 연간 150억 원을 투입(3년간 총 450억원)하고 사업유형을 대학 산학협력단 혁신형, 대학 연구소 혁신형 2개로 구분해 20여개의 사업단(대학)을 선정한다.
대학 산학협력단 혁신형은 대학의 창의적 자산을 보유·관리하는 산학협력단을 대상으로 17개 내외의 사업단을 선정한다. 연구소 혁신형은 특정 분야에 탁월한 경쟁력을 갖춘 연구소를 대상으로 3개 내외의 사업단을 선정할 계획이다.
각 대학별로 산학협력단 혁신형은 1개, 연구소 혁신형은 2개까지 신청 할 수 있다. 대학(연구소) 간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컨소시엄을 구성해 신청도 할 수 있도록 했다. 단, 대학 산학협력단 혁신형의 경우는 컨소시엄 사업단을 수도권, 충청권, 호남제주권, 대경강원권, 동남권 5대권역 별로 1개 이상을 선정해 지역대학의 기술사업화 역량 제고를 도모할 계획이다.
선정된 대학(사업단)은 연 5~10억원을 지원받아 국내외 산업 및 연구개발 동향 수집·분석, 보유 자산에 대한 상업화 가능성 분석 및 사업화 후속 연구개발, 해외 특허 설계 등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리사, 산업동향 전문가 등 실용화 전담인력을 갖추고 체계적으로 창의적 자산을 관리하고 각 분야가 융합된 후속연구(R&BD), 시작품 제작을 진행하게 된다.
당해 사업 계획안 발표에 대해 부산대 권혁철 산학협력단장은 “산학협력단 자체 예산이 충분하지 않아 우수기술에 대한 실용화를 추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지원한다면 좋은 실용화 성과가 많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교육부는 오는 24일 사업 설명회를 개최하고 3월 중순까지 사업 신청서를 접수해 5월중 선정평가를 완료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