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편도염은 일교차가 커지는 봄과 가을 환절기에 진료인원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편도염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3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은 796만 5,422명으로 남성이 358만 7,187명, 여성은 437만 8,325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많았다.
2013년 기준 연령별로는 9세 이하의 비율이 전체 진료인원 중 22.9%를 차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도 9세 이하(3만9,949명)가 가장 많았다. 이어 10대(1만9,485명), 30대(1만6,579명), 20대(1만3,117명) 순으로 나타났다.
<2013년 연령별 진료인원>
여성이 남성에 비해 1.2배 많았고 9세 이하와 7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남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편도염 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진료인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 기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도염 질환으로 인한 2013년 수술인원은 7만3,407명으로 매년 수술인원 비율이 소폭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분석결과 20대 수술률이 1.48%로 가장 높았고 10대(1.08%), 30대(0.99%), 9세 이하(0.95%) 순이었다.
편도염은 양측 편도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하며 급성편도염과 만성편도염으로 나뉜다.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한다.
급성편도염은 대부분의 경우 갑작스럽게 시작돼 오한과 열이 동반되고 인후통, 연하통, 두통이 있으면서 온몸이 쑤시는 통증이 있다. 만성편도염은 급성염증이 자주 반복돼 지속적으로 편도에 염증이 있는 경우로 대개 반복적인 인후통이 있고 편도결석으로 인한 구취가 동반되기도 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신향애 교수는 “급성편도염은 계속 피로가 쌓이거나 심한 온도변화에 노출됐을 때, 상기도 감염이 있을 때, 대사성질환이나 면역질환이 있을 때 잘 유발한다. 특히 환절기 때 상기도 감염이 자주 발생하며 대개 자연적으로 증상이 좋아진다”며 “하지만 심한 경우 이차적인 세균감염으로 편도염이 발생한다. 평소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며 구강위생을 유지하고 자주 손을 씻는 습관을 갖도록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