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인간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 건강검진을 받듯이 산림도 5년 주기의 건강검진을 실시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전국 산림을 대상으로 지난 4년간(2011~2014년) 전국 800개 고정표본점에 대한 산림건강성을 진단했다. 이 결과 우리나라 산림의 86.6%가 건강한 산림으로 평가됐고 그 중 8.1%는 ‘매우 건강’ 상태였다. 건강성이 다소 떨어지는 산림은 13.2%, 매우 쇠약한 산림은 0.2%로 평가됐다.
산림건강성 진단은 전국 산림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매년 200개소씩 5년 동안 1000개의 고정표본점에서 조사 분석된다. 진단 항목은 수목, 식생, 토양, 대기 등 4개 부문의 29개 항목이다. 산림건강성 평가는 수관활력도, 수관급, 형질급, 종다양성,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유효토심 등 7개 평가 지표를 선정해 평가한다.
산림건강성 진단 항목별 분석 결과는 수관활력도(산림을 구성하는 나무들의 건강 상태)의 건강등급 비율이 89.6%로 나타났다. 6.3%의 나무는 적정생육밀도(임분수확표 임령별 밀도 기준)보다 평균 1.2배 과밀한 상태에 있어 숲가꾸기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토양산도는 평균 pH 4.9±0.4로 생육적정범위보다 약간 낮았으나 토양 내 유기물,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 등 양분 상태는 생육적정범위를 나타냈다.
반면, 7개 특·광역시 도시숲을 대상으로 산림건강성을 모니터링 한 결과, 과거 5년 전과 비교해 임목의 수관활력도 건강등급은 평균 4% 감소하고 심한쇠퇴 등급은 평균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내 유기물함량과 전질소는 각각 평균 27%, 38% 감소해 적정범위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 도시숲의 건강성 유지 증진을 위한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남성현 원장은 “국가 산림의 건강성을 과학적으로 보완 유지하고 증진기술을 개발해 나갈 것이다. 건강쇠퇴가 우려되는 도시숲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정밀건강검진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