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9일 중동순방 성과 등 '제2의 중동붐'을 언급하면서 "우리가 경제재도약을 염원하고, 경제활성화 노력을 하고 있고, 간절하게 기도하는 마음으로 염원하는데 그것에 대한 하늘의 응답이 바로 지금 현실에서 벌어지는 메시지라고 정확하게 읽어야 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현실은 하늘의 메시지다'하는 얘기를 혹시 들은 적이 있는가. 과거 70년대 오일쇼크로 경제를 어떻게 살릴건가, 주저앉을 건가라는 공황에 빠졌을 때 우리는 현실이 주는 메시지를 잘 읽었다"며 "우리가 경제재도약을 염원하고, 경제활성화 노력을 하고 있고, 간절하게 기도하는 마음으로 염원하는데 그것에 대한 하늘의 응답이 바로 지금 현실에서 벌어지는 메시지라고 정확하게 읽어야 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바로 중동으로 진출해야 된다. 기회를 우리가 잘 활용해야 된다'고 해서 중동으로 나가 피땀을 흘린 결과 경제도약을 이루는 원동력이 됐다"며 "당시에 기회인줄 모르고 좌절하고 지나가버렸으면 오늘의 번영도 없었을 것이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이것이 바로 하늘의 메시지"라고 말했다.
또한 '포스트 오일시대'에 대비한 중동의 산업다각화 정책추진, 우리 기업의 경쟁력과 인재역량 등을 언급하면서 "서로 필요한 것이 딱 맞는다"며 "중동의 정책과 우리의 창조경제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서로 연대가 잘맞게 돼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 당시 그게 기회인줄 모르고 좌절하고 그냥 지나가버렸으면 오늘의 번영도 없었을 것"이라며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스마트 산업혁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며 "제조업의 생산시스템을 근본적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업종별 맞춤형 스마트공장 보급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제조업의 스마트혁신을 촉진해야 한다"면서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들이 지역 혁신기관들과 연계해 3D 프린터를 활용해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만드는 소규모 창업운동과 같은 한국판 '메이커스 무브먼트'를 촉진하는 지역별 제조업에 창업허브가 돼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융합 신산업의 성패는 시장 출시속도에 달려 있다"면서 "낡은 법과 인증 제도를 그대로 두고는 스마트 혁명을 일으키기가 어렵다. 규제도 스마트하게 확 바꾸고 시범사업도 신속하게 추진해 우리 기업들이 첨단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안전분야에 대해서도 "재난과 사고예방에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간다면 안전 확보는 물론이고 새로운 사업과 일자리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안전시스템 구축과 산업 육성을 반드시 이뤄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중동 4개국 순방은 미래성장의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었다"며 "한마디로 가능성을 확신으로 바꿀 수 있었던 것이 이번 순방의 가장 큰 성과"라고 말했다.
또한 "특히 이번에 할랄 식품의 중동진출 길을 어렵게 열었다. (아랍에미리트와 할랄식품 협력) MOU 체결 순간이 참으로 소중했다"며 인증 기준마련, 할랄식품 전용단지 조성 등 수출확대를 위한 종합지원체계 구축, 청년인력의 중동 진출을 위한 종합지원 대책 마련 중동의 대한국 투자관련 제도 개선 등을 당부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아주 봄기운이 완연한 것 같이 느껴지는데 이렇게 모든 만물이 소생하는 봄을 맞아 우리 경제도 한번 기지개를 활짝 펴는 펴야 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