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서애진 기자] 앞으로 아파트 대피공간에 설치되는 방화문은 화재 시 인명피해 방지와 안전성 강화를 위해 차열(遮熱) 성능을 30분 이상 확보해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이와 같은 내용의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이 6일 공포됐다고 밝혔다.
우선 아파트 대피공간에 설치하는 방화문은 열을 30분 이상 차단하는 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현재 아파트 대피공간의 벽체는 차열이 가능한 내화구조이나 출입문에 설치되는 방화문은 차열 성능이 없어 화재 발생 시 대피공간 내 급격한 온도 상승을 견딜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파트 대피공간의 내부 온도를 30분 이상 60℃ 이하로 유지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계단과 계단참의 너비를 실제 피난에 사용되는 공간인 유효너비로 명확하게 규정했다. 현재 계단과 계단참의 너비는 건축물의 규모와 용도에 따라 60㎝, 120㎝, 150㎝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난간의 너비를 포함하는지 여부가 불명확해 민원과 분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단과 계단참의 너비를 난간의 너비를 포함하지 않는 유효너비로 명확히 규정했다.
다만 방화문 성능 강화 규정은 현재 방화문 제조업체에서 차열 방화문을 생산하고 있지 않아 민간 업계에서 차열성능을 갖춘 방화문의 생산 기술과 설비를 갖춰 개정된 규정에 대비할 수 있도록 1년 이후인 내년 4월 6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개정으로 아파트 화재 발생 시 안전한 대피공간 확보로 인명 피해를 방지하고 계단 등의 너비 측정기준을 명확히 해 관련 민원이 감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