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제20회 환경의 날’을 맞아 1970~1990년대 우리 국토를 더 맑고, 더 푸르게 하기 위해 온 국민이 구슬땀을 흘리며 힘써왔던 모습이 담긴 자연보호 활동 관련 기록물을 5일부터 홈페이지(www.archives.go.kr)를 통해 제공한다.
이번에 소개되는 기록물은 총 30건이다. 우리나라는 1960년~70년대 고도성장 과정에서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겪었다. 정부는 환경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980년 1월 전담행정기관인 환경청을 발족했다. 이후 환경보호의 전문성과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환경청은 1990년 환경처로 승격됐고 1994년 현재의 환경부로 확대 개편됐다. 또한 1998년 내무부로부터 국립공원관리 업무를, 1999년에는 산림청으로부터 야생조수 보호와 수렵 관련 업무를 이관받는 등 환경부의 업무범위는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자연보호운동은 1977년 전국적으로 약 100만 명이 참가한 ‘자연보호 범국민운동 궐기대회’를 시작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1978년에는 자연보호에 대한 국민적 결의와 의무를 담은 자연보호헌장이 제정 선포됐다.
1979년 강원도 강릉에서는 황소 2마리를 동원한 이색적인 자연보호운동이 추진됐다. 참가자들은 황소에 쟁기를 매달아 경포대 백사장을 청소했고, 이를 통해 깨진 유리병, 고무신 등 오물을 수거했다. 자연보호 활동은 단순히 쓰레기 수거에 그치지 않고 야생동물 먹이주기, 새 집 달아주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졌다.
1980년대 이후에도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는 매년 국토대청결운동 등 자연보호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 참가한 사람들은 너나 할 것 없이 한 손에는 비닐봉투를 들고 산과 하천의 쓰레기를 주워 담았다. 지리산의 경우 헬기까지 동원해 쓰레기를 수거했다.
강과 바다에서는 물안경과 산소통으로 무장한 잠수부들이 폐유리병, 폐그물 등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했다. 1990년 국토대청결운동 당시 수거한 쓰레기는 무려 6,330 톤으로, 2.5 톤 트럭 2,500대 분량에 달했다.
최근에는 환경에 대한 인식이 복지 분야에까지 확장되고 있는 추세다. 환경이 단순한 보호차원을 넘어 모든 사람이 깨끗한 환경을 누리면서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복지’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행자부 국가기록원은 “자연을 보전하기 위해 우리 주변의 산과 바다에서 각종 오물을 수거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긴 기록을 통해 전 국민이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