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5일 "만약에 지자체나 관련 기관이 독자적으로 이것(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을 해결하려고 할 경우에 혼란을 초래할 뿐 아니라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 중앙부처와 지자체 간에 긴밀한 소통, 그리고 협업이 있어야 되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메르스 환자 격리와 치료의 최일선 현장인 국립중앙의료원을 찾은 자리에서 "메르스의 경우에 우리가 이전에 경험을 한번도 못해봤던 감염병이기 때문에 모두가 혼연일체가 돼서 막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이 메르스 대응 현장을 직접 방문한 것은 지난달 20일 국내 첫 확진 환자가 나온 뒤 17일 만이다.
박 대통령은 이어 "그렇기 때문에 각 지자체, 또 관련 단체가 메르스 대응과 관련해서 어떤 특이사항이 있다든지, 어떤 제보할 것이 있다면 일단은 중앙방역대책본부로 통보를 해서 창구를 일원화해 일사불란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의 이러한 언급은 전날 밤 박원순 서울시장이 대형병원 의사인 35번째 확진 환자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어 1천5백여명의 시민이 메르스 위험에 노출됐다고 밝히면서 정부의 방역조치를 비판한 것에 대한 반박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또한 "지난 20일 최초로 환자가 발생한 후에 정부가 초기에 어떤 국제기준, 그리고 매뉴얼에 따라서 대응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초동대응에 허점이 있었다"며 "그러나 현재는 정부가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민간 전문가들하고 함께 확산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국민께서 믿음을 가져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지금 (메르스) 감염 확산 방지책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가(自家) 격리된 사람들이 외부와의 접촉을 줄이는 것"이라며 그에 대한 협조를 구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일각에선 (메르스 대응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대응과 비교하지만, 사스는 중국·동남아 등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던 질병의 유입을 막는 것이었고, 메르스는 내국인에 의해 유입된 질병이 의료기관 내에서 여러 접촉을 거쳐 감염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서 그 양상이 다르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의 최대 역점은 감염 확산을 차단하는 것이지만 아울러 이미 감염된 분들을 어떻게든지 최선을 다해 치료를 해내는 것"이라며 "감염위험을 무릅쓰고 헌신적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에게 힘과 용기를 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