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생한 서울 D병원에 확진 환자 관련 CCTV 제공 등 실태조사 협조를 요구했다.
박 시장은 이날 오후 시청에서 브리핑을 열어 D병원에 협조사항을 요청하며 "병원의 협조가 있길 기대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시장으로서 모든 가능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D병원이 협조하지 않으면 의료법에 따라 서울시장은 해당 병원에 대해 지도와 명령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창보 서울시 보건기획관은 "의료법 59조에는 지도명령, 64조에는 개선허가 및 취소에 대한 내용이 있다면서 "해당 병원에 폐쇄명령까지 내릴 수 있는 권한이 시·도지사에게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가 D병원에 요구하는 것은 ▲CCTV 등 35번 확진 환자에 대한 병원내부 동선에 대한 자료 ▲ 병원 내부 35번 환자 접촉자에 대한 정보 ▲35번 환자 참석한 심포지엄 참석자 명단 ▲메르스 발병자 관리상황 공유 ▲메르스 대응 병원 시설 현황 ▲35번 환자 관리상황과 접촉자 정보 ▲병원의 자체 감염 관리 대책과 현황 ▲감염 예방 보호장구 확보 현황 등이다.
이날 박 시장은 메르스 확산 예방을 위해 D병원의 이름을 한시라도 빨리 공개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 시장은 "지금까지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음으로서 의혹을 많이 키운 점도 있고, 지역사회 확산이 심각하게 우려되는 수준"이라며 "D병원을 지금이라도 공개하고 싶고 공개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만 중앙정부가 내일 한다고 발표했으니 믿고 기다리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D병원 이름 공개 후 시민의 문의와 검사 요청이 폭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장을 본부장으로 하고 의사, 간호사, 변호사, 공무원이 참여하는 역학조사반 등 민관합동 8개 추진반을 신설하기로 했다.
박 시장은 "역학조사반은 10개조 50명의 인력을 추가 확보해 확진환자와 의심환자에 대한 역학조사를 대대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또 중앙정부에는 현재 질병관리본부에서만 확진 판단 권한을 갖고 있어 검진과 확진 사이에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며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까지 확진 판단 권한을 확대해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서울시는 35번 확진 환자가 참석한 재건축조합 총회 참가자 1천565명 중 95.1%인 1천488명과 연락했으며 나머지 77명에 대해 이날 오전부터 다시 연락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락이 된 사람 중 미열 등 증상이 있는 사람은 2명이다. 이 중 1명은 보건환경연구원 검사결과 음성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1명은 검사가 진행 중이나 음성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