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서애진 기자] 행정자치부가 메르스(MERS) 예방과 대응을 위해 중앙-지방의 총력 대응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하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일선 시군구와 보건소 등 최일선 현장에서 중앙의 정책이 실제 집행되는 것을 확인하고 점검하는 것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먼저 메르스 방역, 예방과 관련한 중앙-지방의 효율적인 협업과 의사 소통을 위해 ‘범정부 메르스 대책 지원본부(본부장 국민안전처장관)’내 배치 인력을 증원했다. 그간 5급 1명이었던 행자부 인력을 4급과 5급 각 1명으로 확대했다.
또한 서울, 대전, 경기, 충남, 전북 소속 5급 각 1명을 추가 증원해 지자체 방역과 예방 상황을 보고하도록 했다. 지자체의 애로와 건의사항을 취합하고 메르스 대응 관련 관계부처 협조 사항을 전파하는 등 중앙-지방의 의사소통 채널 역할을 하도록 했다.
자택 격리자 1대 1 관리실태 점검도 강화했다. 행자부는 국민안전처와 합동으로 격리 대상자 일일 모니터링 등에 대한 지자체 감찰을 위해 합동 점검반을 구성했다. 총 17개반(34명)을 편성해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서울, 인천, 대전, 경기, 충남, 충북, 전북 7개 시도를 대상으로 점검을 확대한다.
시도 별로는 ‘메르스 지역 1대 1 책임관’을 지정한다. 행자부 소속 국·과장급 공무원인 지역 책임관은 메르스 대응과 관련해 해당 지자체에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확인하고 의견을 수렴해 중앙에 전달하는 등 중앙-지방간 소통 및 협력 강화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행자부 정종섭 장관은 “중앙과 지방의 모든 방역 역량을 총동원해 메르스를 종식시켜야 한다. 중앙의 메르스 대응책이 일선 현장 최접점까지 한치의 오차 없이 전달되고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가 중앙의 정책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행자부 역시 최대한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