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영양성 빈혈’ 진료인원 중 절반이 30~40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여름철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영양성 빈혈’에 대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간 건강보험과 의료급여를 분석했다.
이 결과, 진료인원은 2010년 약 37만5천명에서 2014년 약 39만6천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2만1천명(5.7%)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4%로 나타났다. ‘영양성 빈혈’ 진료인원 4명 중 1명은 40대로 대부분 여성 진료인원이었다. 2014년 기준 연령구간별 진료인원은 40대 10만3천명(25.7%), 30대 6만명(15.0%), 10세 미만 5만5천명(13.8%) 순으로 많았다.
‘영양성 빈혈’ 진료인원 대부분은 철결핍 빈혈로 임신, 출산, 월경 등으로 인해 여성 진료인원이 많았고 특히 30~40대 여성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5년 전에 비해 진료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구간은 70세 이상으로 과거에 비해 적극적인 검진이 원인으로 보인다.
월별로는 진료인원이 5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여름철인 7, 8월에 가장 많았다. 특히 10대 여성의 경우 여름철 진료인원이 다른 때보다 2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름철을 앞둔 무리한 다이어트 시도가 불충분한 식사로 인해 ‘영양성 빈혈’을 보이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여름철에는 활동량 증가로 숨 가쁨, 어지러움 등의 빈혈 증상을 느껴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영양성 빈혈’은 적혈구 수치가 정상수치보다 낮아지는 ‘빈혈’의 일종으로 철, 비타민, 엽산 등의 영양소가 결핍돼 나타나는 질환이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어지러움, 쇠약감, 창백한 피부 등이 있고 방치하게 되면 부정맥, 심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남성의 경우 10대가 되면서 철요구량이 감소해 진료인원이 많지 않으나 여성은 월경, 임신, 출산 등으로 인해 폐경기까지 철요구량이 증가해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연령층에서는 위암, 대장암 등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해 빈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영양성 빈혈’은 혈액검사 등으로 진단하게 되며 치료방법은 철분, 비타민, 엽산을 보충제나 주사를 이용해 보충한다. 평소에 철분, 비타민, 엽산이 많이 포함된 시금치, 땅콩, 토마토, 시금치, 양배추, 감자 등의 음식물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경삼 심사위원은 “여름철 다이어트를 위해 평소보다 식사량을 줄이더라도 철분, 비타민, 엽산 등의 영양소들이 결핍되지 않도록 주의해 식단을 구성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