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여성가족부는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가진 직장인 아빠, 엄마 1,000명과 초등학생 이하 어린이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가족사랑 위시리스트’ 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부모가 정시퇴근 후 자녀와 가장 하고 싶은 것은 ‘뽀뽀, 안아주기 등 애정표현(14.5%)’이었고 자녀가 부모와 가장 하고 싶은 것은 ‘블록, 퍼즐, 보드게임 등 놀이(19.8%)’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부모는 ‘공원 등 산책(11.0%)’, ‘축구, 야구, 배드민턴 등 운동(10.1%)’을 꼽았고 자녀는 ‘축구, 야구, 배드민턴 등 운동(15.4%)’, ‘외식 등 저녁식사(8.2%)’를 꼽았다.
하지만 퇴근 후 자녀와 함께 이러한 활동을 ‘주 3회 이상’ 실천하고 있는 부모는 20.3%에 불과했다. ‘주 1~2회’만 실천하고 있는 경우가 66.1%로 가장 높았고 ‘전혀 하지 못한다’는 응답도 13.6%로 나타났다.
이유로는 아빠는 ‘퇴근이 늦어서(65.2%)’, ‘업무에 지쳐 피곤해서(58.5%)’를, 엄마는 ‘집안일 등 해야 할 일이 많아서(60.8%)’, ‘업무에 지쳐 피곤해서(49.3%)’를 꼽았다. 응답자의 61.8%는 ‘정시퇴근을 하지 못한다’, 21.6%는 ‘저녁 9시 이후 퇴근한다’고 응답했다. 정시퇴근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일과 시간에 하지 못한 업무처리(35.9%)’, ‘야근의 일상화(33.5%)’를 꼽았다.
직장인 아빠·엄마들은 일·가정 양립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정시퇴근 문화 확산(63.9%)’, ‘사회적 인식 및 직장문화 개선(46.4%)’, ‘일·가정 양립 제도 확산(36.0%)’을 답했다.
김희정 여가부 장관은 “가족들이 함께 저녁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사회인식과 직장문화를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여가부는 이번 ‘가족사랑 위시리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족참여 프로그램’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벤트’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