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정미 기자]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시군구청의 살충제를 사용한 방역소독에 대해 ‘과도한 연막소독 자제’ 등 지도 관리 강화를 전국 시·도에 요청했다. 연막소독은 살충제를 중유 또는 등유를 희석 용매제와 혼합해 가열기로 공간 살포하는 방식이다.
모기 등 위해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막소독은 메르스 바이러스와는 무관하고 해충의 활동시기가 아닌 낮 시간 동안 연막소독을 하는 것은 살충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주택단지의 연막소독은 살포되는 범위가 불특정하게 넓어 해당지역 환경과 주민 건강에 대한 위해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어 소독대상을 특정할 수 있는 방식인 분무방식이나 유충구제를 권장했다.
다만 일본뇌염, 말라리아 등 위해 해충과 관련된 감염병 등이 유행해 단기간 내 긴급히 불가피하게 넓은 지역을 방제할 경우에는 물을 사용하는 연무소독 또는 극미량연무소독을 권장한다.
본부 관계자는 “시군구청이 실시하는 지역사회 방역소독에 대해 실태조사를 실시해 올바른 방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