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일제강점기 항일운동 동향을 정탐한 정보보고서와 경제적 수탈을 위한 자원조사서 등 관련분야 연구자 중심으로 활용돼 오던 조선총독부 생산 기록물이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온라인을 통해 제공된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조선총독부가 생산한 기록물 약 17만 건의 원문 이미지를 17일부터 누리집(www.archives.go.kr)을 통해 제공한다.
이번에 제공하는 기록물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앙관서(22개 분야)와 지방 7개 도(道), 각급 학교 생산 기록물 등 17만 건, 393만여 장으로 일제의 식민지배와 침탈 내용이 망라돼 있다. 지금까지 조선총독부 기록물은 각 분야 별로 정리 출간돼 관련분야 연구자 중심으로 활용해 왔다. 이번 온라인 서비스로 국가기록원을 방문하거나 사전청구 없이도 누구나 쉽게 열람할 수 있게 됐다.
중앙관서 기록물은 국권 침탈, 항일운동에 대한 탄압과 감시, 각종 자원의 수탈, 부군(府郡) 폐합 등 지방행정구역 개편, 도로·교량·항만공사 등 일제가 식민지배 체제를 구축하고 탄압과 수탈을 강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예규철’(1907년)은 1907년 이토오히로부미와 이완용이 체결한 ‘한일협약’(정미7조약), 경찰기구 설치 관련 각종 예규 등을 담고 있다. ‘폭도(暴徒)에 관한 편책’(1907년)은 1907년 10월~12월 전국 각지의 의병 동향을 파악한 것으로 의병에 대한 일제의 시각을 볼 수 있다.
한편, 국가기록원은 지난해까지 국무회의록,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 관보, 시청각기록물 등 약 550만 건을 온라인으로 제공해 왔다. 올해는 조선총독부 기록물에 이어 강원·충청권 지적원도 등 약 370만 건을 추가해 총 920만 건을 제공하고 2017년까지 총 1,840만 건을 온라인으로 서비스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