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21일 북한의 서부전선 포격도발 사건과 관련, 당초 예정했던 지방 방문 일정을 취소하고, 북한의 의도와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향후 대응책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경욱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을 통해 "당초 예정된 오늘 일정은 취소됐고, 지금까지 대통령의 오늘 공식일정은 없다"며 "청와대는 차분하고 냉정하게 북한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북한이 도발해온 상황에서 강력하게 응징하겠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민 대변인은 지방일정 취소 배경과 관련, "이번 사태를 가볍게 보지 않는다는 결의로 이해해달라"며 "북한의 도발에는 단호히 대처하고 국민을 안심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포격도발에 단호하고도 엄중하게 대응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북한 동향과 우리 군의 대비 태세를 보고받고, 차분하면서도 신중한 자세로 대비책을 점검해나갈 방침이라고 청와대 측은 밝혔다.
이는 북한이 포격도발을 감행하면서 김양건 통일전선부장 명의의 서한을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앞으로 보내 "현 사태를 수습하고 관계개선의 출로를 열기 위해 노력할 의사가 있다"고 밝히는 등 이중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만큼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하고 관리해 나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특히 청와대는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도발에 이은 서부전선 포격도발은 계획적인 것이라 판단하고, 추가 도발시 강력하게 응징하겠다는 기조를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북한이 48시간 내 심리전 방송을 중단하지 않으면 군사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위협한 것과 관련해 추가 도발 유무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향후 대응책을 설계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북한의 도발로 인한 국민 불안과 이에 따른 증시급락 등 경제적 여파 등에 대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북한의 준전시사태 선포, 김양건 명의 전통문 등에 대해선 국방부와 통일부 등을 통해 대응할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지방일정 취소도 전날 밤 늦게 신중하게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박 대통령은 전날 오후 5시께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북한 포격도발 사건의 상황보고를 받고, 10분 뒤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를 소집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전날 오후 6시부터 40여분간 NSC 상임위를 직접 주재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