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정부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문화·환경·정보통신기술(ICT)이 어우러진 최첨단 경제올림픽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21일 제7차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지원위원회를 열고 전반적인 대회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위원회는 16개 부처 장관과 대회조직위원장, 강원도지사 등 21명으로 구성됐다.
정부는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올림픽 최초로 온실가스 발생량(165만톤)을 전량 감축·상쇄하고, 대회기간 중 폐기물 배출을 제로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5세대(5G) 이동통신과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서비스를 적극 활용한 올림픽 운영을 통해 최첨단 ICT 강국으로서의 위상도 드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올림픽 전후로 평창·강릉·정선에서 겨울음악제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예술축제를 개최한다. 올해 11월까지 국내외 전문가 자문을 거쳐 개·폐회식 기본 컨셉트와 연출안을 마련한다.
이와 관련, 황 총리는 "국제행사 개최가 국가와 지자체의 재정부담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 평창올림픽은 예산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경제 올림픽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회 운영 측면의 준비에 박차를 가해 평창동계올림픽이 '최첨단 문화·환경·ICT 올림픽'이 되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황 총리는 또 "대회 성공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전폭적 참여를 통해 지역 분위기가 살아나고, 이런 분위기가 전국으로, 세계로 확산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주최국인 우리나라의 대회 성적이 국민적 호응과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쇼트트랙 등 전통적 강세 종목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로운 종목은 지속적으로 발굴·육성하는 등 경기력 향상에 매진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조만간 평창 현장을 방문해 대회 준비상황을 직접 점검하고, 다각적으로 지원을 위한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