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월 26일부터 11월6일까지 실시한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주택’ 제1차 시범사업의 신청접수 결과를 발표했다. 접수 결과, 전국 12개 LH 지역본부에서 총 358건이 접수됐고 내년도 제1차 시범사업 선정물량인 80호 기준 4.47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전체 358건 중 122건으로 가장 많은 접수를 기록한 가운데 대구경북(73건), 부산울산(44건), 인천(27건) 순으로 높은 접수실적을 나타냈다. 특히 제주를 비롯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신청이 접수돼 향후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주택의 활성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집주인들의 연령은 평균 56세로 30대 이하 36명, 40대 75명, 50대 82명, 60대 이상이 165명으로 주로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이미 은퇴한 50대 이상의 신청인이 전체 69%를 차지했다. 이번 사업에는 나이가 많을수록 ‘나대지’ 보다는 ‘단독·다가구 주택’을 이용에 참여하고 신축한 건물에서 계속 거주하려는 비율이 높았다.
특히 은퇴세대에 해당하는 60대 이상의 고령층 중 94%가 단독·다가구주택을 이용하기를 원했고 이 중 67%가 신축 후 계속 거주하기를 희망했다. 즉 주거환경을 개선하면서 임대수익도 얻는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주택을 안정적인 노후대비 수단으로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기간이 짧은 ‘자산형’ 보다는 임대기간이 길어 임대수익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연금형’(272건, 76%)을, 자신이 스스로 선정한 건축사·시공사로 건축을 진행하는 ‘협의방식’ 보다는 LH가 설계·시공의 모든 과정을 관리하는 ‘지원방식’을 선택(278건, 78%)했다.
또한 집주인들이 소유하고 있는 단독·다가구 주택이나 나대지의 88%가 인근 0.5㎢ 이내에 시내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시설이 위치한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 독거노인 등이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주택’에 입주하려는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로는 연금형의 선택비율은 수도권(서울,인천,경기)과 비수도권이 76% 수준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나대지’를 활용해 참여하려는 비율은 비수도권이 15%인 반면 수도권은 7% 수준으로 나타나 비수도권에서 높게 나타났다. 협의방식을 통해 집주인이 적극적으로 설계와 시공과정에 개입하려는 경향은 수도권이 16% 수준인 반면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28%로 높게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내년 3월 착공을 목표로 LH와 함께 올 11월말까지 최종선정자의 2배수를 예비사업자로 선정하게 된다. 기금 수택은행인 우리은행이 예비선정자를 대상으로 융자적격성 여부를 판단한 후 12월 초 최종사업자를 선정해 발표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