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허은숙 기자] 교육부는 수능 이후 교육활동의 내실화를 위해 19일 고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수능이후, 자기개발시기 학사운영 내실화 계획’을 시·도교육청에 안내했다.
시·도교육청은 각 학교에서 ‘수능이후, 자기개발시기 학사운영 내실화 계획’을 수립해 시행하고 담당교사 연수 등을 통해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적극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교육부는 수능과 학년말 시험 이후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학사운영을 정상화하고 수능 이후부터 다음 해 2월 졸업 전까지의 학사운영 취약시기를 학년 전환기의 ‘자기개발시기’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꿈·끼 탐색주간 운영, 진로탐색·체험활동, 창의·인성 체험활동 등 다양한 체험활동을 지원한다. 꿈·끼 탐색주간은 학기말, 학년말, 2월 교육과정 운영 취약시기에 학생들의 꿈과 끼를 마음껏 발산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탄력적으로 편성해 실시하는 교육활동이다. 유형으로는 진로탐색활동, 상급학교 적응 활동, 인문학·예술·체육 활동, 학교축제활동, 지역사회 연계 활동, 다양한 테마 중심 활동이 있다.
수능 이후 시기를 월별 단기체험형, 2월 등교기간 최소화형, 혼합형 등의 탄력적 학사 운영과 연계해 ‘자기개발시기’로 인식을 전환하고 각 학교에서 꿈·끼 탐색주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커리어넷, 꿈길, 크레존, 진로체험프로그램 등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안내했다.
교육부 박제윤 교육과정정책관은 “수능이후, 학기말은 학년을 끝내는 시기가 아니라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는 시기다. 학생들이 자기개발을 위한 소중한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과 학교의 세심한 관심을 부탁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