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015년 소재·부품 교역동향(잠정)’을 발표했다. 수출은 전년대비 4.1% 감소한 2,647억 달러를 기록해 총수출(5,272억 달러)의 50.2%를 차지했다. 소재·부품 수출비중은 2014년 대비 2%p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베트남으로의 수출증가(+35.2%)에 힘입어 대아세안 수출이 소폭 증가한 반면 유럽, 일본 등 대부분 지역으로의 수출은 감소했다. 전자부품(+0.5%), 전기기계부품(+3.2%), 컴퓨터와 사무기기부품(+13.0%) 등이 강세다. 소재는 유가 급락에 따른 단가하락 등으로 비금속광물(12.7%)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이 수출 감소세를 나타났다.
수입은 전년 대비 5.1% 감소한 1,597억 달러를 기록해 총수입(4,368억 달러)의 36.6%를 차지했다. 일본, 중동, 유럽에서의 수입이 크게 감소하는 등 대부분 지역에서의 수입이 감소했으나 베트남에서의 수입(+73.2%)은 대폭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무역흑자 1,051억 달러를 기록해 2014년 1,078억 달러에 이어 2년 연속 1,000억 달러 초과 달성했다. 엔저 지속, 유가 하락, 신흥국 경기 부진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 됐다.
주요국별로는 대중국 수출집중도 증가, 대일본 수입의존도 감소, 대베트남 교역비중 증가 추세를 보였다. 대중국 수출은 953에서 935억불로 소폭감소했지만 소재·부품의 대중국 수출집중도는 35.3%로 상승했다. 대일본 수입의존도는 사상 최저치인 16.5% 기록했다. 베트남은 수출입 규모가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며 교역비중이 사상최대치인 4.8% 기록했다.
산업부는 중소 소재와 부품기업이 자유무역협정(FTA) 체제(플랫폼) 등을 활용해 수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 중 ‘제4차 소재·부품발전기본계획’을 수립해 소재·부품산업이 먹거리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