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국내 첫 도시형 자기부상열차가 인천국제공항역에 개통됐다. 국토교통부는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용유동 관광단지에 건설한 시속 110km급 도시형 자기부상철도를 3일 운행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5년 개통한 일본에 이어 세계 2번째 도시형 자기부상철도 보유국이 됐다.
우리나라는 국가 연구 개발(R&D) 사업으로 1993년 대전 엑스포 전시용 차량(시속 30km급)을 최초 개발한 이래 2006년 실용화 모델(시속 110km급) 개발에 성공해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이후 시범노선 건설을 위해 2006년부터 실용화 사업을 추진하고 2012년까지 인천국제공항에 시범노선을 건설해 3년여 간의 종합시운전, 장애보완, 전문기관 안전점검 등을 거쳤다. 시범노선 건설에는 9년 4개월 동안 총 4,149억 원이 투입됐다. 국가와 인천시, 인천공항공사, 민간업체들이 재원을 분담하고, 한국기계연구원, 철도시설공단, 현대로템㈜ 등 국내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공항구역 내 셔틀 개념의 교통수단으로 인천공항공사가 운영을 담당하고 일반인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역∼장기주차장역∼합동청사역∼국제업무단지역∼워터파크역∼용유역까지 6.1㎞ 6개 역을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15분마다 운행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저렴한 건설비를 내세우고 있는 중국도 도시형 자기부상철도를 곧 개통할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해외 철도시장에서 중국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기술고도화 같은 건설비 추가절감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 차원에서도 다각적인 행정적 지원방안을 강구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