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뇌출혈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뇌출혈’ 진료인원은 2010년 7만 7,027명에서 연평균 2.0%씩 증가해 2014년 8만 3,51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약 82.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78.4%, 여성의 경우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86.4%를 차지했다. 특히 70대 이상 연령층은 인구 10만명당 환자가 689명으로 30대 이하 20명의 34.4배에 달했다.
뇌출혈은 뇌실 또는 뇌실질 안에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뇌출혈은 원인과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일어난다. 일반적인 고혈압성 뇌출혈은 의식저하, 마비, 언어장애등으로 나타난다.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뇌출혈은 극심한 두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나이에 따라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나이가 많을수록 고혈압, 뇌동맥류, 종양, 약물 등에 의한 경우가 많고 비교적 젊은 사람들은 뇌동맥류, 혈관기형, 종양 등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뇌출혈은 한번 발생하면 후유증을 남기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이에 원인이 될 수 있는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음주, 심혈관질환등의 위험인자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외과 양국희 교수는 “평소 고혈압, 당뇨 등이 있었다면 꾸준히 약을 복용하고 운동은 물론 과도한 음주 등을 삼가고 금연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