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현대적 질환이 늘고 정신건강과 밀접한 자살, 중독, 폭력, 학대 등 사회문제가 날로 심각해짐에 따라 국민의 정신건강 관리와 정신질환 예방 치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행정자치부와 보건복지부는 국민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진단을 거쳐 국립서울병원을 포함한 5개 국립정신병원을 개편한다. 행자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개정안’과 ‘책임운영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2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개편안을 보면, 국립서울병원의 명칭이 ‘국립정신건강센터’로 변경된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진료 뿐 아니라 국민 정신건강 증진과 연구 기능을 포괄하고 국가 정신보건사업 지원과 수행을 총괄하는 국립서울병원의 명칭을 기능과 역할에 부합하도록 바꾸는 것이다.
정신·신체 복합질환자에 대한 진료도 강화한다. 그동안 국립정신병원은 신체질환을 동반한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치료 시설, 인력 등 의료기반(인프라)이 부족했다. 이에 국립서울병원에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의 협진을 위한 의료시설과 장비 등을 현대화 했다. 더불어 복합질환자에 대한 협진(協診) 수요가 많은 소화기, 호흡기, 신경, 소아청소년, 재활의학 5개 과목을 신설한다.
나주, 부곡, 춘천, 공주 4개 지방 국립정신병원도 개편한다. 각 병원에 정신건강증진사업 전담부서(정신건강사업과)를 신설해 권역 별 거점기관 역할을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지자체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에 전문적 치료, 상담기법 개발, 보급 등 현장애로를 적극 지원하게 된다.
정진엽 보건복지부장관은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출범은 반세기에 걸친 국가 정신보건의료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다. 국민 누구나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국민 정신건강의 중추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해 나갈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