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염현주 기자] 교육부는 과학을 즐기고, 누리고, 나누는 창의적 과학교육 구현을 위한 ‘과학교육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올해부터 본격 추진한다.
이번 계획은 ‘모든 이를 위한 과학(Science for All)’을 강조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학생, 교원, 학교, 사회가 어우러져 과학을 함께 즐기고 배우는 창의적 과학교육 분위기 조성을 위한 종합 계획을 담고 있다.
우선 학생 스스로 즐겁게 과학을 배우고 탐구할 수 있도록 과학중심융합인재교육을 연계한 거꾸로 과학교실(Flipped Classroom)과 학생 중심의 참여형 수업을 도입하고 과학토론형, 탐구실험형, 자율탐구활동형 등 다각적인 과정중심 평가를 실시한다. 거꾸로 교실은 학생들이 수업 전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 내용을 습득하고 수업시간에는 학습 내용을 토대로 과제수행, 토론, 문제풀이 등을 진행하는 것.
또한 메이커활동과 연계한 ‘스스로 과학동아리’를 확대해 학생 스스로 도전하고 시도하는 과학적 태도를 길러 실제 과학적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의 창작 제작 교육을 지원한다. 메이커활동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기술기반의 제품서비스를 구상하고 조립 개발하는 활동을 말한다.
이와 함께 2015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 따라 신설되는 초·중학교 통합단원과 고등학교의 과학탐구실험이 운영될 수 있도록 교구설비 기준을 마련해 필수 교구를 확보하도록 지원한다. 기존의 과학실을 첨단 과학실험과 창의융합형 과학실로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창의융합형 과학실은 미래형 과학교실에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가상체험 실험 등과 같은 첨단과학기술과 미술, 음악, 인문학 등이 융합한 첨단교육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과학 분야에 우수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연구에 관심과 흥미를 갖고 몰입할 수 있도록 과제연구, 연구교육 프로젝트 학습 환경을 일반계 고등학교까지 확대하고 과학중점 학교의 특성화모델을 개발해 교육청 주도의 자율적인 과학중점학교를 확대해 운영할 계획이다.
이준식 부총리는 “이번 과학교육종합계획을 통해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기르고 창의적인 과학교육을 통해 미래 세대에 필요한 핵심 역량이 함양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