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2019년 말을 기준으로 도시가스 공급계획이 없는 전국 12개 군(郡) 지역에 대해 대규모 액화석유가스(이하 LPG) 저장탱크와 배관망 설치를 지원하는 ‘군단위 LPG 배관망 사업’이 올해부터 본격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사회복지시설과 농어촌 마을단위를 지원하는 기존 ‘LPG 소형저장탱크 보급 사업’과는 별도로 ‘군단위 LPG 배관망 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우리나라 228개 시군구 중 도서 산간에 위치한 12개 군(郡) 지역(에너지자립섬 울릉군 제외)은 지리적 여건, 낮은 사업성 등으로 도시가스 공급이 곤란한 형편이다. 이 지역 주민들은 도시지역 주민들보다 소득 수준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취사와 난방 연료비 지출액은 약 2배에 달하고 있어 지역 간 에너지 복지 불균형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돼 왔다.
올해부터 3,000세대 전후의 화천읍, 청송읍, 진도읍을 대상으로 군단위 LPG 배관망 시범사업을 시작해 단계적으로 2020년까지 12개 군 지역에 대한 사업을 모두 완료할 계획이다. 군단위 LPG 배관망 사업은 각 지역별로 2개년에 걸쳐 약 2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며 국비 50% 지방비 40% 지역주민 10% 분담 방식으로 추진한다.
군단위 LPG 배관망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모든 세대에 다기능가스안전계량기(마이콤미터)와 매몰형 중간차단밸브를 설치하고 배관점검원, 굴착 원콜센터 제도도 도입하기로 했다. 2020년 군단위 LPG 배관망 사업이 완료되면 전국 228개 모든 시군구에 도시가스 또는 LPG 배관망 설치가 완료되고 도시와 농어촌 간의 에너지 복지 불균형도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아울러 올해도 농어촌 마을단위 26개소와 사회복지시설 260개소에 대해 LPG 소형저장탱크와 배관망 설치를 지원하기로 했다. 2014년부터 시작한 농어촌 마을단위 LPG 배관망 사업은 지난해까지 평택시 고덕면, 안성시 보개면, 원주시 소초면, 충주시 동량면 등 총 65개 마을에 지원됐다.
LPG 유통단계 축소 등을 통해 기존 LPG 용기 대비 30 ~ 50% 정도의 연료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마을단위 LPG 배관망 설치가 완료돼 취사와 난방 문제를 해결하게 된 마을 주민들은 연료비가 절감되고 가스사용의 안전성과 편리성이 향상 대폭 향상된 것에 대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도시가스 공급이 곤란한 지역에 대해서는 대안으로 LPG 저장탱크와 배관망 방식의 가스 공급체계를 구축해 에너지 복지를 개선해 나갈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