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25일 2016년도 소프트웨어(SW) 연구·선도학교 900개 학교를 발표했다.
올해 새롭게 선정된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는 서울 누원초, 부산 기장초 등 초등학교 382개교와 중학교는 대구 강동중, 인천 가좌중 등 214개교다. 고등학교는 광주 상일여자고, 평택 여자고 등 86개교로 총 682개교다. 지난해 선정돼 2차년도 계속 지정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 218개교와 함께 소프트웨어(SW)교육을 운영한다.
소프트웨어(SW) 연구·선도학교는 2018년부터 시작되는 소프트웨어(SW)교육 필수화에 대비해 정규 교육과정 내에서 소프트웨어(SW)교육을 중점 운영할 계획이다. ‘소프트웨어교육 운영 지침’을 적용해 정규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는 17시간 이상, 중학교는 34시간 이상의 소프트웨어(SW)교육, 고등학교는 ‘정보’ 관련 과목을 통해 소프트웨어(SW)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교과 시간 외 창의적 체험 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자유학기 등을 활용해 소프트웨어(SW) 소양을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이 운영될 예정이다.
교육부와 미래부는 학교별 평균 1천만원의 운영지원금과 함께 내실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교과과정 운영을 위한 보조교재를 개발해 보급하고 소프트웨어(SW) 담당 교사들의 지도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연수와 교과연구회 운영지원도 실시할 예정이다.
교육부와 미래부는 전국 900개 연구·선도학교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SW) 교육과정 운영, 보조 교재 등을 안내하고 기존 우수사례 공유를 위해 4월 1일부터 14일까지 5회에 걸쳐 권역별 ‘착수 워크숍’을 실시한다. 착수 워크숍에서는 기존 연구학교와 선도학교의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소프트웨어(SW)교육 동향과 필요성에 대한 기조 강연, 연구·선도학교 운영 방향 안내, 분임 토의 등을 실시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