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국민안전처는 5일 한식을 앞두고 성묘객 실화, 소각행위 등으로 인한 산불 위험요인이 높아짐에 따라 1일 중앙부처, 지자체, 국립공원관리공단 합동으로 대형 산불 방지대책을 긴급 점검한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 청명과 한식을 전후한 4~6일 연평균 16건의 산불이 발생해 63ha의 산림이 소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한 바람, 영농준비, 성묘객 등 입산객 증가로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산림청, 지자체의 산불 방지대책 점검을 통해 진화헬기를 전진 배치하고 소각행위 집중단속 등을 통해 산불방지에 총력을 다하기로 했다.
이에 앞서 전국 산불발생 위험도의 증가에 따라 산불 위기경보를 지난 28일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 발령하고 3월 20일부터 4월 20일까지 대형 산불 특별대책기간을 정해 운영하고 있다.
안전처 김희겸 재난관리실장은 “봄철 강한 바람과 건조한 날씨로 대형 산불 발생 위험이 높다. 산불은 대부분 부주의한 소각에서 시작됨으로 공무원과 의용소방대원들이 예찰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수시로 마을앰프, 문자전광판 등을 활용해 산불방지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