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천련 기자] 국산 민간 항공기 상용화 시대가 열리게 됐다. 국내 최초로 개발된 민간 항공기가 국토교통부의 모든 안전검사를 성공적으로 통과하고 공군사관학교에 인도돼 공군 조종사 양성에 활용될 예정이다.
항공기명은 KT-100으로 지난 2014년 국토부 주관 하에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개발한 KC-100(나라온)을 공군의 비행실습 목적에 맞게 일부 개조했다. 그간 국토부는 KC-100을 공군 훈련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국방부, 방사청과 2014년 5월 ‘국산 소형항공기 실용화 협정서’를 체결했다.
이후 변경된 KT-100의 설계승인, 비행시험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지난해 12월 모든 안전검사를 완료했다. KT-100은 공군이 기존에 사용하던 러시아산 T-103를 대체하게 돼 1·2호기를 시작으로 올해 말까지 총 20여대가 공군에 전달돼 2017년부터 본격 활용될 예정이다.
공군은 그간 우리 군이 개발한 KT-1, T-50과 함께 러시아산 T-103을 훈련기로 활용해 왔으나 KT-100으로 러시아기를 전면 대체하게 되면서 공군 조종사 양성에 필요한 전 과정을 국산 항공기로 일원화하게 됐다.
국토부는 2014년 10월 미국과 체결한 항공안전협정을 통해 KC-100의 미국 내 활용을 위한 인증도 올해 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산 민간 항공기가 실전에 활용되는 첫 사례다. 공군이 국산 민간 항공기를 사용함으로써 수입대체 효과를 유발하고 국가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며 “향후 항공기 핵심부품, 중형 제트기도 국산화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 안전, 인증검사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