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내년 박정희 탄생 100주년을 기념, 경북 구미시가 1억원을 들여 높이 30m의 대형 새마을기 게양대를 설치하려는 것을 두고 논란에 휩싸였다.
14일 구미참여연대에 따르면 구미시는 내년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준공식에 맞춰 경부고속도로변에 대형 새마을기 게양대를 설치하는 계획을 세웠다. 1억원을 들여 30m의 게양대를 만든 뒤 가로 8m, 세로 6m인 대형 새마을기를 내걸어 새마을 종주도시를 알린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포항시는 작년 말 3억원을 들여 높이 45m인 게양대에 가로 12m, 세로 8m의 대형 새마을기를 설치하려다가 비판 여론에 밀려 중단한바 있다.
이에 구미시는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을 널리 알리기 위한 아이디어로 새마을기 게양대 설치를 검토하고 있지만 확정하지는 않았다"고 했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지난 2013년부터 870억원을 들여 구미시 상모동 박 전 대통령 생가 옆에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조성에 나섰고 내년 10월경 완공할 계획이다. 주요 사업을 들여다보면 민족중흥관 건립(59억 원), 생가 주변 공원화 사업(286억 원), 역사자료관 건립(200억 원) 등이다. 이뿐 아니라 내년에 40억 원을 들여 박정희 뮤지컬 '고독한 결단' 제작(28억 원), 기념우표·메달 제작(2억 원), 휘호·탁본집 발간(1억 원) 등 박 전 대통령 탄생 100주년(11월 14일)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일명 '잘 살기 위한 운동'인 새마을운동은 지난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제창됐다.
그러나 농촌근대화운동이자 박정희정부의 종합적 지배전략이었던 새마을운동의 정의나 역사적 평가는 여전히 분분하다.
새마을운동을 지역사회개발운동으로 보는 시각과 유신체제에 대한 농민의 정치적 지지를 동원하기 위한 억압적 통제나 지시일변도의 국가동원체제의 일환으로 보는 시각 사이의 대립이 그것이다.
겉으로는 새마을 운동이 농민들의 자발성과 능동성, 자조 정신이 무엇보다 강조되었지만 그러한 표방과는 달리 국가의 정책은 효율성과 가시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강압적으로 시행된 측면이 있다.
농민들은 잘 살기 위해 참여했다 치더라도 그들의 잘사는 내용과 방향을 결정해 준 것은 박정희정부였으며 농민이 운동의 자율적 주체라고 보기 힘든 운동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과연 경북도와 구미시가 수백억을 들여 '박정희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새마을운동 기념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국민들의, 지역 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했는지 궁금할 뿐이다. 그리고 새마을운동의 종주도시라는 타이틀이 870억원의 가치가 있는지도 묻고 싶을 뿐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