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산림청이 소나무재선충병 훈증방제의 안전성을 재확인 했다. 훈증방제 유해물질 발생에 관한 측정 분석 결과 지난해 이어 올해도 인체에 거의 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훈증방제는 고사한 소나무를 베어낸 뒤 매개충을 죽이는 약을 뿌리고 비닐을 씌워 밀봉하는 방식의 방제다.
산림청은 재선충병 방제 시 훈증약제(메탐소듐)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인 이소시안화메틸(Methyl isocyanate, 이하 MIC) 농도 측정 결과 유해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21일 밝혔다. 조사는 집중방제기간인 지난 2∼3월 국립산림과학원과 서울대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이 공동으로 실시했다.
측정 결과, 훈증방제 시 MIC 발생량은 우리나라 고용노동부와 미국 환경청의 노출 허용기준의 0.28%∼7%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기 중의 MIC 유해성은 3일 이내에 반으로 줄고 6일 이후에는 전혀 검출되지 않는 등 장기노출에도 안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3월 경기 포천·광주 등 6개소 훈증 방제현장 MIC 측정에서도 발생량이 미미하게(0.04~0.12㎍/㎥) 나타났다. 이에 앞서 지난해 8월 국립산림과학원이 국내·외 전문가의 협조를 받아 실시한 검증에서도 재선충병 훈증방제에 대한 유해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임상섭 산림병해충방제과장은 “재선충병 훈증방제 시 유해물질이 나오지 않느냐는 일부 지적이 있지만 잇따른 연구와 실험 결과 유해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같은 과학적 입증을 통해 훈증방제에 대한 불안과 우려가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