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등산객 증가로 몸살을 앓고 있는 백두대간 등산로에 대해 정기적인 실태 조사와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질 전망이다. 또한 등산로 보호와 주변 산림생태계 회복을 위해 휴식년제와 예약 탐방제, 둘레길 조성 등이 추진된다. 산림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백두대간 마루금(산 정상끼리 연결한 선) 보전·관리 대책’을 10일 발표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해 금강산, 설악산, 태백산, 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로 총 길이는 1400km(남한 701km)다. 우리나라 최대 단일 법정 보호지역으로 정부는 2003년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2005년부터 백두대간 보호지역을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우선 훼손이 심한 구간에 대해선 산림기술사를 투입해 등산로 입지조건, 이용과 훼손 특성 등을 연말까지 정밀조사하고 정비계획을 마련해 내년부터 정비 복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일부 구간에만 실시했던 등산로 실태조사도 전체 구간으로 확대해 정기 조사할 방침이다.
등산로 보호와 주변 산림생태계 회복을 위해 휴식년제와 예약탐방제 등도 탄력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휴식년제는 훼손이 심각한 숲길 보호와 이용자의 안전 등을 위해 숲길 전부 또는 일부를 지정해 일정기간 출입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제도다. 또한 마루금 종주에 집중되는 등산객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지리산·속리산·설악산·덕유산백두대간 4대 명산 둘레길도 조성한다.
특히 지형 특성상 산불과 산사태에 취약한 백두대간 내 산림재해 예방 대응 시스템을 강화하고 소나무재선충병 예찰과 백두대간 내 불법 산지전용, 불법 벌채 등에 대한 감시활동도 철저히 하기로 했다. 아울러 도로 개설 등으로 단절된 마루금 15개소를 복원하고 보전가치가 높고 관리상 필요한 지역을 편입해 오는 2025년까지 백두대간보호지역을 30만ha로 확대할 계획이다.
최병암 산림보호국장은 “이번 대책은 백두대간 종주 등을 하는 등산객 수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훼손을 막고 보전하기 위한 조치다”며 “백두대간 보전을 위해서는 휴식년제 실시, 예약탐방제 등 국민 공감대와 협조가 필수적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