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생활체육 참여자의 절반 이상이 부상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만 19세 이상 1만339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5 스포츠안전사고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결과에 따르면, 비정기적 체육활동까지 포함한 생활체육 참여자 중 절반 이상(57.3%)이 부상을 경험했고 부상경험률이 높은 종목은 축구(71.3%), 격투기(66.7%), 검도(66.7%), 스노보드(64.6%), 농구(64.5) 순이었다.
주요 부상 부위는 발목(25.4%), 무릎(23.1%), 상반신(20.1%)이었고 부상 종류는 염좌(51.7%), 통증(51.0%), 찰과상(21.6%) 순이었다. 부상에 따른 치료기간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71.3%가 ‘2주 이내의 가료기간을 갖는다’고 답했다.
부상경험률, 부상의 경중, 연간 부상횟수, 치료비, 3주 이상의 가료비율 5개 항목을 고려한 종목 간 상대적인 부상 위험도를 분류하면 축구, 자전거, 무도스포츠, 농구, 항공스포츠가 상대적으로 안전사고 위험도가 높은 적색 종목으로 나타났다.
등산, 보디빌딩(헬스) 등의 종목은 참여율이 높으면서도 사고 위험성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 황색 종목으로 분류됐다. 녹색 종목으로 분류되는 스케이팅, 배드민턴, 수영 등은 부상 시 심각성이 낮고 부상 발생가능성도 적지만 사고에 대한 대비나 대처가 미흡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부상수준 등급별 분류>
부상의 직접적인 원인은 무리한 동작과 미끄러져 넘어짐, 사람과 충돌, 시설과 충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디빌딩(헬스)은 바벨/덤벨(33.1%), 벤치프레스(25.4%) 등의 중량이 큰 운동기구 이용 시 부상이 많아 무리한 동작으로 인한 사고가 많았다.
등산의 경우 미끄러져 넘어짐(61.8%)이 안전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10명 중 8명 이상(81.2%)이 하산 시 부상이 발생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축구(55.0%), 무도스포츠(37.5%), 농구(37.0%) 등 직접적인 부딪힘이 잦은 종목의 경우에는 사람과의 충돌로 인한 부상이 많이 발생했다.
치료방법에 대해서는 부상 발생자의 절반 이상(55.5%)이 주관적 판단 후 자가치료를 했고 의사진료 및 치료(31.3%), 약사 상담 후 자가치료(13.2%)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부상자의 73.9%는 치료비용을 자부담으로 처리했고 치료비는 개인부담 금액기준 1인, 1건당 5만4,7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참여자 중 부상 경험자는 부상 후 스포츠활동을 중지(17.6%)하거나 감소(54.0%)해 부상 발생이 스포츠활동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활동을 중지하거나 활동주기를 감소한 이유는 신체적 불편함이 절반 이상(53.3%)이었고 심리적 두려움(30.9%), 가족과 지인의 반대(12.0%) 순으로 나타났다.
문체부 관계자는 “앞으로 국내 최초로 실시된 ‘스포츠안전사고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스포츠안전 취약 그룹과 종목별 취약 요소, 체육시설의 취약점 등을 파악해 안전사고 사고 예방과 효과적인 대처를 위한 안전 정책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