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2020년이면 고속도로 5천km가 구축돼 30분 내 고속도로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통행권이 필요 없는 스마트톨링이 전면 도입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도로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1차 국가도로종합계획’을 확정하고 31일 고시한다. 국가도로종합계획은 우리나라 도로의 현황과 그동안의 성과를 평가하고 장래 여건변화를 면밀히 분석해 향후 도로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중장기 계획이다.
우선 2020년까지 고속도로 5천km를 구축해 전 국토의 78%, 모든 국민의 96%가 30분 내 고속도로에 접근할 수 있는 교통환경을 조성한다. 서울-세종, 평택-부여-익산 고속도로 등 주요 간선망을 착공하고 부산순환, 대구순환 등 전국 대도시권 순환도로도 완공 또는 착공할 계획이다.
<고속도록 연장 변화>
안전투자 비중도 지속 확대해 2018년까지 국도상 모든 교량에 대한 내진보강을 완료하고 노후 된 고속도로를 일괄에 개량하는 리모델링 사업도 추진한다.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졸음쉼터, 안개 안전시설, 역주행 방지시설, 마을주민 보호구역 등 사고원인별 안전시설도 지속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로 확장과 신설, 갓길차로제 확대 등을 통해 간선도로의 혼잡구간을 2020년까지 41% 줄여 나갈 계획이다. 또한 대규모 요금소 설치나 통행권 발급이 필요 없는 ‘스마트톨링(자동요금징수)’ 시스템도 시범운영을 거쳐 전면 시행할 계획이다.
고속도로 통행료 외에도 주유소, 주차장 이용 요금을 하이패스로 바로 결제할 수 있는 ‘하이패스 Pay'를 도입한다. 또한 2018년까지 전국 모든 고속도로 휴게소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해 친환경 충전 인프라도 지속 확충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토부와 기획재정부는 2020년까지 국가간선도로 건설과 관리에 국고 37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한국도로공사, 민자 유치 금액을 포함하면 총 72조원을 투자하게 된다. 국가도로종합계획에 따라 실행과제를 충실히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