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추석연휴 동안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가 평소보다 50%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원인은 졸음운전, 핸드폰 조작 등 안전운전 불이행이 가장 많았다. 국민안전처와 국토교통부는 추석연휴 동안 귀성 및 귀경하는 차량으로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추석연휴 동안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942건으로 19명이 사망하고 3,170명이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연휴 동안 1일 평균 47.1건의 사고가 발생해 평상시 31.05건 보다 51% 증가했다. 사망자는 1일 평균 0.95명으로 평소보다(0.80명) 18%, 부상자는 158.5명으로 평소보다(74.21명) 1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발생 원인은 졸음운전, 핸드폰 조작 등 운전자 부주의 혹은 주의 산만으로 발생한 안전운전 불이행이 23%(221건)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안전거리 미확보가 11%(105건)로 뒤를 이었다. 시간대별 1일 평균 교통사고는 오전 10시~12시 사이가 10건으로 가장 많았고 오후 4시까지 평소보다 2배 이상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시간대별 사고발생 현황>
추석연휴 안전한 귀성 및 귀경길 고속도로 운전을 위해서는 출발하기 2~3일 전 미리 엔진, 제동장치 등 차량점검을 실시하고 타이어공기압을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 운전 중에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졸음이 올 때에는 휴게소나 졸음 쉼터에서 10~20분 토막잠으로 잠이 깬 후에 운전하도록 한다.
안전처는 “추석연휴 동안에는 가족이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면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한다”며 “전 좌석 안전밸트를 반드시 착용하고 교통법규를 준수해 안전운전 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