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지난해 학업중단 학생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2015학년도 학업중단 현황조사 결과 전체 초·중·고 학업중단 학생은 총 4만7,070명으로 전년대비 4,836명 감소했다고 29일 밝혔다.
2015학년도 전체 학업중단 학생 4만7,070명은 재적학생 대비 0.77%이며 2010학년도 학업중단 학생 7만6,589명 이후 6년 연속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급별 학업중단 학생 수 현황을 보면, 초등학교는 1만4,555명, 중학교 9,961명, 고등학교 2만2,554명으로 모든 학교급에서 각각 331명, 1,741명, 2,764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 해외출국을 제외한 부적응 사유로 인한 학업중단 학생은 전체 학업중단 학생의 53%인 2만 4,959명으로 전년대비 3,543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초등학교는 2,733명, 중학교 4,376명, 고등학교는 1만7,850명으로 각각 44명, 1,100명, 2,399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 사유를 보면, 초등학교의 경우 정규교육 외 대안교육 등 진로선택을 사유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이 1,520명으로 가장 많았고 학업, 대인관계 등 학교 부적응을 사유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이 135명이었다. 이와 달리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학교 부적응으로 각각 2,090명, 7,963명이 학업을 중단해 상급학교로 올라갈수록 학교부적응 요인이 학업중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시도별로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전년대비 학업중단 학생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부적응 사유로 인한 학업중단 학생 수가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울산이며 전남과 제주 순이었다. 또한 재적학생과 비교했을 때 부적응 사유로 인한 학업중단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강원이며 가장 낮은 곳은 울산으로 조사됐다.
교육부는 위기학생의 충동적인 학업중단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2014년 학업중단 숙려제 의무화를 통해 위기학생에게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학업중단 다수발생 고교 443교를 학업중단 예방 집중지원학교로 지정하고 학교방문 전문가 컨설팅, 교원협의회 운영 등을 지원해 단위학교 내 학업중단 예방 역량체계 구축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공교육 내에서 학생들의 다양하고 특별한 교육적인 수요가 충족될 수 있도록 학교 내 대안교실, 대안교육 위탁교육 기관 프로그램 운영과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교육부 오승걸 학생복지정책관은 “학업중단은 학생 개인의 성장과 자립을 방해하고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 손실 등 큰 비용을 초래한다. 앞으로도 학업중단 숙려제 내실화, 학업중단 예방 집중지원학교 지원 강화 등 적극적인 정책대응을 통해 학생 개인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행복교육을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