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산림청은 벌채된 목재의 유통 경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국산재 통합관리시스템’을 오는 12월까지 구축한다.
국산재 통합관리시스템은 국유림, 사유림, 공공개발지 벌채허가 단계에서 생산·유통·소비까지의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그동안 산림청은 국토교통부, 환경부와의 부처 협업을 통해 도로 등 공공개발지에서 발생되는 목재를 산림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임목을 공개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 또한 불법벌채 목재의 교역금지제도 도입,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국산목재의 합법적 목재생산 입증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에 구축되는 국산재 통합관리시스템은 벌채허가 정보를 관리하는 시군구행정정보(새올)시스템, 임산물가격정보시스템, 국·사유림경영정보시스템, 온비드 시스템 등 각종 시스템이 연계되도록 구축할 방침이다.
산림청은 건설현장에서 그동안 폐기물로 처리됐던 임목을 산림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연간 690억 원의 예산절감과 함께 산림자원 활용에 따른 수입 대체로 연간 2,415억 원의 경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권영록 목재산업과장은 “국산재 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되면 국산목재에 대한 신뢰가 높아져 목재 자급률도 높아질 것이다. 내년 상반기 시범운영을 거쳐 하반기부터 본격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