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10월부터 지자체나 사업장에서 국민들의 건강수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건강검진 및 의료이용지표’를 확대해 제공한다.
‘건강검진 및 의료이용지표’에는 지자체와 사업장별 건강위험요인 보유율, 만성질환 의료이용률 등 55종의 지표로 구성돼 있다. 올 6월부터 읍·면·동 단위로 제공하던 정보를 300인 이상 사업장으로도 확대했고 10월부터는 2015년분을 추가해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총 14년간의 건강수준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각종 진료, 건강검진을 토대로 누적된 약 2조 8,000억건의 건강보험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산출된 것으로 지자체나 300인 이상 사업장 담당자면 누구나 자료에 접근하고 시각화해 정책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역은 물론 소득, 성별, 연령대별로 특정 질환 의료이용률을 직접 비교할 수 있어 각종 정책 수립과 평가에 연계할 수 있게 된다.
복지부 측은 “이를 통해 근거 기반의 조기 정책개입이 가능해져 국민들의 건강수준 향상과 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