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교육부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안정적 시행을 위해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교통소통, 소음방지, 문답지 안전관리 등 원활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11월 17일 수능시험 당일에 교통 혼잡을 피하고 시험장 주변의 소음을 방지해 수험생들이 수능시험을 보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 수능 시험은 11월 17일 목요일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5시 40분까지 전국 85개 시험지구 1,183개 시험장에서 실시된다. 응시생은 지난해 보다 2만5,199명이 감소한 60만5,988명이다. 모든 수험생은 시험당일 오전 8시 10분까지 시험장에 입실을 완료해야 한다.
교통소통 원활화 위해 출근시간 늦추도록 요청
전국 시 지역과 시험장이 설치된 군 지역 관공서 출근시간을 오전 9시에서 10시, 기업체도 출근 시간을 늦추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수도권 전철과 지하철은 교통량이 많은 아침저녁의 혼잡한 출퇴근 시간인 러시아워(rush hour) 운행시간을 7시~9시까지에서 6시~10시까지로 2시간 연장하고 총 28여회 증회 운행할 예정이다.
시내버스는 오전 6시부터 8시 10분 수험생 등교시간대에 집중 배차하고 시험장행 표지 부착, 시험장 안내방송 실시 등 수험생이 시험장을 찾는 데 불편이 없도록 했다. 개인택시는 부제 운행을 해제하고 각 행정기관은 비상수송 차량을 확보해 수험생의 주 이동로에 배치 운행함으로써 수험생의 시험장 이동에 최대한 편의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험당일 시험장 주변의 교통 혼잡을 막기 위해 시험장 주변의 교통통제도 강화된다. 시험장 200m 전방부터 차량 출입이 통제되므로 수험생들은 시험장 200m 전방에서 하차해 시험장까지 걸어가야 한다.
시험장 주변 소음 방지 대책
수능 시험에서 듣기평가가 실시되는 오후 1시 10분부터 1시 35분까지(영어영역 25분간)을 소음통제시간으로 설정해 시험장 주변 소음으로 인해 수험생들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했다. 항공기 이착륙 시간을 조정해 소음통제시간에 비행기가 이착륙하지 않도록 했고 버스, 열차 등 모든 운송 수단의 경우 시험장 주변에서 서행 운행하고 경적은 가급적 자제하도록 했다.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시험장 주변 야외 행사장, 공사장, 쇼핑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활소음도 최대한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전국 1,183개 시험장별 날씨정보 제공
수험생들이 쉽게 날씨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기상청은 홈페이지를 통해 전국 1,183개 시험장별 날씨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기상 악화로 인한 돌발적 기상 상황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시·도별로 도서·벽지 수험생을 위한 수송 대책 마련과 강우나 강설에 대비한 신속한 제설 또는 대체 이동수단 투입계획 등을 마련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수능시험 문답지의 안전한 배부, 보관, 회수를 위해 경찰청, 시·도교육청과 협조해 철저한 경비체계를 마련했다. 문답지 수송 시 경찰인력을 지원받아 보안을 유지하고 문답지 인수, 운송, 보관, 관리상태 확인 감독을 위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에서 중앙협력관을 파견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통소통 원활화, 소음방지 대책 등은 관계기관 뿐만 아니라 국민적 협조가 필요한 사항이다. 수험생들이 수능시험을 불편 없이 무사히 잘 치를 수 있도록 모든 국민들이 적극 지원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