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노유진 기자]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협력을 선도하는 인재 육성을 위한 캠퍼스아시아(CAMPUS Asia)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교육부는 중국 교육부, 일본 문부과학성과 함께 캠퍼스아시아 본 사업에 참여하는 고려대, 성균관대, 와세다대, 북경대 등 17개 사업단 명단을 10월 31일 발표했다.
캠퍼스아시아 사업은 2010년 5월 제3차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3국간 신규사업으로 채택돼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시범 운영됐다. 또한 2015년 11월 개최된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와 올해 1월 개최된 제1차 한일중 교육장관회의에서 그 동안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본 사업으로 확대 추진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시범사업 기간 동안 총 1,900여명의 학생 교류가 이루어졌고 39명의 한국 학생이 동 프로그램을 통해 복수학위를 취득했다. 이러한 교류과정을 통해 한중일 3국 학생들이 전공학문 외에도 서로의 언어와 문화를 습득하고 공통된 이슈에 대해 토론하면서 상호 이해를 증진할 수 있게 됐다.
한중일 3국은 동 사업을 시범사업에서 본격적인 사업으로 확대 시행하기 위해 올해 6월말 각국별 심사를 진행한 후 9월초까지 3국 협의 과정을 거쳐 9개의 신규사업단을 선정했다. 한중일 3국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기존 8개 시범사업단과 더불어 총 17개 사업단의 학생 교류를 지원하게 된다.
교육부 측은 “캠퍼스아시아 사업은 ‘아시아판 에라스무스(ERASMUS) 프로그램’이 목표다.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은 유럽연합 역내 대학생 교류 지원 프로그램으로 유럽 통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며 “한중일 3국의 대학을 중심으로 아시아의 미래를 이끌어 갈 인재 교류 플랫폼을 구축하고 나아가 동아시아 교육공동체 실현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