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교육부는 12월 1일 시·도교육청에서 개발한 교수·학습자료 내용에 대한 적합성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자체 개발한 교과 관련자료, 자유학기제 자료, 교육감 인정 교과용도서 등 총 231종의 자료 목록 중 31종의 자료를 선별했다.국가 체제의 유지와 발전에 적합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 정치적 편향성은 없는지, 종교적 중립성을 준수하는지 등의 기준을 설정해 자료를 분석했다.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 교육과정정책과, 교과서정책과 등 교육부 내 관련 부서 합동으로 1차 분석을 진행해 심층 분석이 필요한 7종의 자료를 추가 선별했다.
분석 결과, 부정적 국가관을 조장하는 자료, 학생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폭력적·선정적 자료 등 교육적으로 부적합한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이중 A교육청의 초등학생 대상 ‘동학농민혁명’에 <죽창가> 노래배우기, 녹두장군 전봉준 할아버지께 “…저와 같이 글쓰기 공부를 하고 있는 남자 아이가 죽창으로 저의 턱을 찔렀어요”가 학생발달 수준에 부적절한 자료로 인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B교육청의 중학교 대상 ‘즐겁게 놀다 보면 나도 통일 전문가’는 <고고도 무인정찰기(HUAV)인 글로벌 호크의 다른 이름은 ‘글로벌 호구’입니다>가 비교육적 단어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편향되고 부적절한 내용을 담은 교수·학습자료가 학교 현장에서 무분별하게 활용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해당 시도교육청으로 관련 자료 수정을 요청하고 불응하는 경우 사용금지 조치 등 강경한 조치를 취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