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국토교통부는 서울, 부산영도, 강원 춘천 등 전국 18곳의 도시재생활성화계획에 대해 제7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원사항을 최종 확정했다.
이들 지역에는 2021년까지 국가에서 국비 8,918억원과 기금 1,301억원 등 총 1조 2백억원을 지원하게 된다. 또한 지방비(1조 3천억)와 민간자본(2조 5,600억)이 더해져 총 4조 9천억원 규모의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된다.
도시경제기반형은 서울 창동·상계와 대구 서·북구 2곳, 근린재생형은 부산영도·울산중·충주·전주·안동·김해·서울용산·서울구로·부산중·부산서·부산강서·인천강화·부천·춘천·나주 15곳이다. 도시경제기반형 청주 1곳이다.
우선 서울 창동·상계는 창동·노원역 주변의 면허시험장 이전부지, 환승주차장부지 등을 활용한 R&D 특화 기능유치, 문화시설 조성 등을 추진한다. 대구 서·북구는 서대구 KTX역세권 개발, 노후산업단지 재생과 연계해 서대구에 경제·교통·문화 허브(Hub)를 구축한다. 산업구조 고도화 지원을 위한 연구·업무 지원시설 건립과 민간참여사업인 서대구산업단지 복합건축사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추진한다.
부산 영도구는 시청과 상권의 이동으로 쇠퇴한 봉래동에 ‘문화·기술 융합’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경북 안동시는 주요 행정기관 이전으로 쇠퇴한 중구동에 ‘안동웅부(安東雄府) 재창조’를 비전으로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경남 김해시는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쇠퇴한 동상동에 ‘가야역사문화‘를 중심으로 활성화를 사업을 추진한다. 강원 춘천시는 캠프페이지가 이전하면서 쇠퇴한 근화동에 소양강과 번개시장을 활용한 사업에 나선다.
충북 청주시는 구 연초제조창 부지의 민간참여사업 여건 개선을 위해 복합공영주차장건립사업을 추가하고 업무·판매·주거시설 등 도입시설을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내용이 계획변경 사항에 포함됐다.
손태락 국토도시실장은 “이번에 국가지원사항이 확정된 도시재생 사업지구는 지난 4월 도입된 관문심사를 통과해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준비가 끝난 지역이다. 앞으로 국토부는 계획에 맞춰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