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18일 우리 정부의 그동안 테러대응 평가와 관련해 "지난해 테러방지법 제정과 대테러센터 출범 등 우리나라 대테러활동에 전환점이 된 의미 있는 한 해였다"면서 "새로운 테러대응체계 조기 정착을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3차 국가테러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지난해 세계 각국에서 테러가 매일 발생하였는데도 우리 국민들의 피해가 없었고 국내에서도 테러 사건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는 테러 예방을 위한 관계 기관의 노력과 국민들이 정부 안내와 정책에 적극 협조해 준 덕분"이라며 "국민께 감사 드린다"고 말했다.
황 대통령 권한대행은 현재 국내외 테러 정세에 대해 "국내외 테러정세를 보면 한 시도 긴장을 놓을 수 없는 현실"이라면서 "테러조직들은 이 순간에도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테러를 획책하고 있으며 수시로 도발을 공언하는 북한의 후방테러 등 언제라도 우리 국민의 테러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올해 국가 대테러활동 방향과 관련, "국내에서 테러가 발생하면 회복할 수 없는 국가적 손실로 연결되므로 선제적인 테러 예방태세를 확립해 나가야 한다"면서 ▲ 관계기관 간 테러 위협 정보 공유 ▲ 테러범 입국 원천 차단 ▲ 폭발물·총기류 등 안전관리 등을 지시했다.
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어 "올해 5월에 개최될 U-20(20세 이하) 월드컵 축구대회의 대(對)테러·안전 확보와 내년 초 평창 동계올림픽의 안전기반 구축에도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또 "한해 2200만명을 상회하는 해외여행객과 재외국민이 해외에서 테러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위험지역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국민들께 필요한 안전정보와 행동요령을 적기에 정확하게 제공하는 등 관계기관들이 배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황 대통령 권한대행은 아울러 "대테러 현장 요원들이 실제 상황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테러사건대책본부를 운영하는 5개 기관은 유관기관 합동훈련을 통해 일선 기관들의 전문역량을 점검·보완하고, 드론 등 진화하는 테러수단에 대한 대응기법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황교안 권한대행은 끝으로 "테러 위협이 점차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선제적인 테러 예방, 그리고 철저한 대응체계를 통해 국민안전을 지켜 나가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면서 "각 부처는 오늘 논의되는 대테러활동 추진계획이 차질 없이 시행돼 국민의 안전이 지켜질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