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오는 3월 초등학교 입학 예정인 어린이는 예방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어린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만 6~7세는 영유아 때 받은 예방접종의 면역력이 점차 감소해 감염병 발생에 취약한 때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초등학교 입학 때부터 3개월간 입학생 아이들이 만 4~6세 시기에 받아야 하는 DTaP(5차), 폴리오(4차), MMR(2차), 일본뇌염 4종의 예방접종 완료여부를 확인한다.
학교와 관할보건소는 예방접종 미완료자에 대해 접종 완료하도록 독려해 감염병 유행을 사전에 예방할 계획이다. 예방접종 미완료자는 전국 1만여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주소지 관계없이 무료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입학아동의 '예방접종 내역'은 교육정보시스템(NEIS)을 통해 학교에서 접종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확인사업을 실시하는 4종의 예방접종이 완료되고 전산등록이 된 입학예정 어린이의 보호자가 ‘예방접종 증명서’를 별도로 제출할 필요는 없다.
올해 3월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어린이의 보호자는 입학 전 자녀의 예방접종 내역이 전산등록 돼있는지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https://nip.cdc.go.kr) 또는 모바일 예방접종도우미 앱에서 확인한다. 만일 빠진 접종이 있을 경우 입학 전까지 접종을 완료하면 된다. 예방접종을 완료했지만 전산등록이 누락된 경우에는 접종 받았던 의료기관에 전산등록을 요청하면 된다.
아나필락시스반응, 면역결핍자 등 예방접종 금기자의 경우 진단 받은 의료기관에서 해당 어린이의 접종 금기사유가 적힌 ‘취학아동용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 받아 학교로 제출하면 된다.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관계자는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으로 학령기 아동의 접종률이 높아지면 교내 감염병 유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며 “학생 본인은 물론 함께 공부할 친구들의 건강을 위해 빠진 접종이 있으면 접종을 완료하고 입학해 줄 것을 학부모에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