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17일 철강 전문가, 금속 소재 및 장비기업, 자동차·항공·발전기 등 수요기업들과 간담회를 갖고 ‘금속소재 분야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입체(3D)프린팅 산업의 핵심 소재인 ‘금속분말 소재 육성전략’'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정 차관은 “우리나라 금속소재 산업이 앞으로도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도전과 기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소비자 맞춤형, 다품종 소량생산 등 제조업 혁명을 촉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입체 프린팅에서의 필수소재인 금속분말의 중요성이 부상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현 시점에서 우리의 금속소재 분야에 우수한 연구개발(R&D) 역량과 제조기술·설비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선제적으로 투자할 경우 향후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과 같은 수출 주력 품목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간담회 참여 기업들은 금속분말 입체 프린팅 시장이 초기 단계로 향후 성장 가능성은 높게 보고 있지만 투자에 따른 높은 리스크와 작은 수요시장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며 연구개발과 수요창출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요청했다.
정 차관은 “시장과 민간 주도의 금속분말 입체 프린팅 산업 생태계의 조기 구축이 중요하다. 정부도 이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간담회에서 논의한 전문가와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고 입체 프린터 장비, 소프트웨어(SW), 금속·세라믹소재 등 관련 분야를 총집결해 조만간 ‘입체 프린팅 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