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삼성이 28일 전면적인 경영쇄신안을 발표하고 그룹의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공식 해체를 선언하고 계열사 자율경영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공표했다.
삼성은 "이번 이재용 부회장 구속 기소 등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무겁게 받아들여, 미래전략실을 완전 해체한다"며 "최지성 실장, 실차장 장충기 사장 및 팀장 전원 사임한다"는 내용의 쇄신안을 발표했다.
또 삼성은 계열사 자율경영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사실상 삼성 그룹이란 이름도 더 이상 쓸 수 없게 됐다.
이번 경영쇄신안으로 1959년 창업주 이병철 선대 회장 시절 비서실에서 출발한 삼성의 미래전략실이 58년 만에 사라지게 됐다.
대관업무 조직도 해체한다. 앞서 발표했듯 기부금의 경우 10억이 넘는 금액부터는 이사회 또는 이사회 산하 위원회에서 결정한다.
삼성 그룹 신입사원 공채는 올해 상반기를 마지막으로 계열사별 공채로 전환되고, 수요 사장단 회의와 CEO 세미나도 폐지됐다.
승마협회장직도 사퇴하고 파견 직원 전원 복귀한다. 박상진 사장은 삼성전자 사장직도 사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앞으로 3대 계열사인 삼성전자와 삼성생명, 삼성물산을 중심축으로 유관 계열사들이 함께 주요 사안을 조정하는 방식의 자율경영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쇄신안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12월 열린 '최순실 게이트' 관련 청문회에 참석해 미래전략실 해체를 약속한데 따라 마련됐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