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빈혈로 병원을 찾은 환자 가운데 여성이 남성 보다 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빈혈’로 진료 받은 환자는 2010년 47만 6천 명에서 2015년 50만 9천 명으로 5년간 3만 3천 명 증가(6.9%) 했다.
빈혈로 진료 받은 환자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3배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은 2010년 10만 6천 명에서 2015년 11만 8천명으로 11.4% 증가했다. 여성은 2010년 37만 명에서 2015년 39만 1천명으로 5.6%했다.
2015년 기준 연령대별로는 40대가 12만 6천 명(24.8%)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7만 1천 명(14.0%), 50대 6만 4천 명(12.5%) 순이었다. 여성은 40대가 11만 7천 명(29.8%)으로 가장 많았고 남성은 9세 이하가 3만 2천 명(27.0%)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종양혈액내과 장명희 교수는 “여성이 40대가 되면 생리량 증가와 관련된 자궁 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빈혈 환자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빈혈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심장에 부담이 가중돼 심장질환의 위험성이 증가된다”고 했다.
빈혈은 말초혈액 내의 적혈구수가 감소하고 혈색소(헤모글로빈) 농도가 정상 이하로 감소되는 상태를 말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남자 성인의 경우 혈색소 농도가 13g/dL, 여자 성인의 경우 12g/dL, 6~16세 사이의 청소년은 12g/dL, 6개월에서 6세 미만의 소아는 11g/dL, 임산부는 11g/dL 미만인 경우를 빈혈로 정의했다.
빈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한다. 철결핍성 빈혈은 혈색소의 주재료인 철분의 부족으로 발생하며 빈혈 중에서 가장 흔하다. 거대적아구성 빈혈은 혈구세포를 구성하는 DNA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비타민 B12나 엽산의 결핍으로 발생한다.
빈혈은 쉽게 피곤하고 노곤하며 온몸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가장 먼저 나타난다. 피부는 혈색이 없고 창백하게 보이며 많은 혈액이 지나야 하는 심장은 산소 부족으로 가슴이 뛰고 아프기도 하며 몸이 붓기도 한다. 계단을 오르거나 등산 시 숨이 차며 현기증과 두통 그리고 집중력이 떨어져 정신이 흐릿해 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정 교수는 “가장 흔한 철결핍성 빈혈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시금치, 땅콩, 아몬드, 해바라기씨,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 철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