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5월 등산객 안전사고가 4월에 비해 50% 급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본격적인 행락철을 맞아 등산객이 늘어나면서 등산 중에 안전사고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등산객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안전처 재난연감 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지난 5년간 총 3만3,139건의 등산사고가 발생했고 매년 평균 17% 정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월 중 산악사고는 전체의 11%(3,615건)를 차지해 4월 7.2%(2,401건) 대비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사고 원인은 실족·추락사고가 33%(1만887건)로 가장 높았고 조난 16%(5,374건), 개인질환 13%(3,787건), 안전수칙 불이행 8%(2,541건) 순으로 나타났다.
실족·추락사고는 등산로에서 미끄러져 단순한 골절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과한 자신감으로 무리한 산행을 하거나 절벽과 같이 위험한 곳에서 사진을 찍으려다 실족해 사망하는 경우도 많아 등산객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2014년 2월 8일에는 북한산 용암문 부근 절벽에서 사진을 찍으려던 등산객이 휴대폰을 떨어뜨려 이를 주우려다 30m아래로 추락해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 올해 2월 19일에는 충청남도 용봉산 정상인근 등산로 바위에서 등산객이 과한 자신감으로 점프를 하다가 착지를 잘못해서 큰 부상을 당한 사례가 있었다.
안전처 조덕진 안전기획과장은 “정해진 등산로를 벗어나거나 위험·접근금지 구역은 들어가지 말고 산에 오르기 전에 반드시 스트레칭으로 몸을 충분히 풀어주어야 한다”며 “산행 중 방심하거나 부주의한 행동은 피하고 과한 자신감으로 무리한 산행은 자제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